주요 사업
2010년 5월, 톈위 반도체는 중국과학원 반도체연구소와 협력하여 ‘탄화규소 기술 연구원’을 설립하고, 중국 최고의 기술 혁신팀을 구성하여 고객에게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탄화규소 에피택셜 웨이퍼의 주요 생산업체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2022년 4월, 톈위 반도체는 둥관에서 8인치 탄화규소 에피택셜 웨이퍼 프로젝트를 출범시켰다. 같은 해 8월, 글로벌 유명 기업인 코히어런트(Coherent)와 1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고, 6인치 탄화규소 기판을 공급하기로 했다. 동 계약은 이번 분기에 시작하여 2023년 말 완료될 예정이다.
프러스트앤설리반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톈위 반도체는 중국의 탄화규소 에피택셜 웨이퍼 시장에서 매출 기준 38.8%, 판매량 기준 38.6%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중국의 탄화규소 에피택셜 웨이퍼 산업에서 1위를 차지했다. 또한 글로벌 시장에서도 매출과 판매량 모두 각 15%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세계 3위의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생산력 측면에서 보면, 2024년 10월 31일 기준, 톈위 반도체의 6인치 및 8인치 에피텍셜 웨이퍼의 연간 생산력은 약 42만 장에 달했으며, 이로써 중국에서 6인치 및 8인치 에피텍셜 웨이퍼 생산력을 갖춘 가장 큰 기업 중 하나로 거듭났다.
투자 유치 현황
중국 3세대 반도체 시장 수요의 빠른 성장에 힘입어, 톈위 반도체는 많은 투자 기관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21년 7월, 톈위 반도체는 화웨이하보(华为哈勃)로부터 7천만 위안의 단독 엔젤 투자를 받았다. 화웨이가 투자를 결정한 것은 5G 응용 분야에서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했기 때문이다.
톈위 반도체는 화웨이하보의 투자를 받은 후 1차 시장에서 인기 있는 투자 대상 기업으로 떠오르며, 2022년 하반기 네 차례의 증자를 신속하게 완료했다.
2022년 6월, 톈위 반도체는 2차와 3차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 2차 전략적 투자는 비야디(比亚迪)와 상해자동차상치(上汽尚颀) 등 산업 자본에서 1억 위안을 출자했으며, 3차 전략적 투자는 하이얼(海尔)캐피털, 천다오(晨道)캐피털, 둥관다중(东莞大中), 션넝신루이(申能欣锐) 등 기관에서 1.5억 위안을 추가로 투자했다.
특히, 천다오캐피털, 상해자동차상치 모두 전기차 분야와 밀접한 관련있으며, 천다오캐피털의 주요 출자자가 바로 닝더스다이(宁德时代)라는 점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2022년 8월, 톈위 반도체는 약 6.68억 위안 규모의 투자를 완료했으며, 투자자로는 푸부투자(复朴), 용위에청장(踊跃成长), 리완투자(立湾), 춘양지우타이(春阳久泰), 칭이신양(氢毅昕阳), 중광위안(中广源), 진윈톈위(缙云天域), 중국-벨기에펀드, 위에커신타이(粤科鑫泰) 등 다수 기관이 있다.
같은 해 12월, 톈위 반도체는 4.9억 위안의 자금을 추가 증자했으며, 투자자에는 관순투자(莞顺), 중산롄신(中山联芯), 자오상장하이(招商江海), 자오화자오정(招华招证), 환위투자(寰域), 리완베이정(立湾倍增), 리더랑(立德让), 화퉈허푸(华拓合富), 보중촹신(博中创新) 등이 있다.
이로써 톈위 반도체는 주요 산업 자본, 재무 투자자, 지역 국유 자본 플랫폼 등 여러 유명 투자자들을 확보하게 되었다. 2022년 12월, 톈위 반도체의 투자 후 기업가치는 130억 위안을 넘어서며, 슈퍼 유니콘 기업 반열에 공식적으로 이름을 올렸다. 2024년 11월, 일부 주주들이 소수의 지분을 양도하면서, 기업의 가치는 약 152억 위안으로 평가되었다.
최근 톈위 반도체는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을 신청하였으며, 홍콩 주식 시장의 IPO를 목표로 하고 있다.
경영 현황
톈위 반도체는 3세대 탄화규소 반도체 소재의 핵심 공급업체로서, 중국 및 글로벌 신에너지 산업의 급성장에 힘입어 제품 출하량이 크게 증가했다.
2021~2023년까지 기업의 매출은 각각 1.55억 위안, 4.37억 위안, 11.71억 위안에 달했으며, 연평균 복합 성장률은 175.2%에 달했다. 동시에 순이익은 2021년 1.8억 위안의 적자였던 것에서 2022년 280만 위안, 2023년 9,590만 위안의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다. 연구개발 비용도 각각 0.22억 위안, 0.29억 위안, 0.55억 위안으로 매년 증가하였다. 전체 매출 총이익률은 각각 15.7%, 20.0%, 18.5%를 기록했다.
그러나 2024년 상반기에는 여러 원인으로 인해 매출이 전년 대비 14.8% 감소한 3.61억 위안에 그쳤으며, 순손실은 1.41억 위안 발생하였고, 매출 총이익률은 -12.1%를 기록했다. 기업은 2024년 이러한 실적 하락의 주요 원인에 대해 탄화규소 에피택셜 웨이퍼 및 기판의 시장 가격 하락과 국제 무역의 위축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매출을 살펴보면, 2021~2024년 상반기까지 해외 매출 비중은 각각 14.7%, 12.6%, 44.2%, 11.4%로, 2024년 상반기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다.
현재 톈위 반도체는 화웨이, 상해자동차, 비야디 등 다운스트림 전기차, 에너지 저장, 가전, 태양광 등 분야에서 주요 고객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
톈위 반도체는 이번 상장에서 모집된 자금을 생산력 확대, 전략적 투자, 인수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2024년 10월 31일 기준, 기업은 중국 내에서 6인치 및 8인치 에피택셜 웨이퍼 생산력을 갖춘 최대 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생산력 확장을 통해 회사는 2025년까지 38만 장의 추가 생산력을 확보하고, 연간 총 생산력을 약 80만 장까지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참고 자료:
촹예방(创业邦). 둥관, 150억 규모 슈퍼 IPO 실시…중국 1위, 세계 3위, 화웨이·BYD 모두 투자(东莞杀出150亿超级IPO:国内第一、全球第三,华为比亚迪都投了). (25.03.07)
https://mp.weixin.qq.com/s/1IqfxRuWoYCVX_qrmxgRMg